티스토리 뷰
영화나 드라마를 시청할 때 자막은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특히 외국어 콘텐츠를 시청할 때는 더욱 그렇죠. 윈도우 운영체제에는 기본적으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가 내장되어 있어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도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용자들이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자막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자막 파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면에 표시되지 않거나, 글자가 깨져서 나타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이죠.
이 글에서는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자막을 올바르게 설정하고 표시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자막 파일 준비부터 플레이어 설정, 문제 해결 방법까지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목차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자막 설정하기 전에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자막 설정을 하기 전에 기본적인 원리와 필요한 조건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막 파일 형식과 호환성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는 모든 자막 형식을 완벽하게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 SRT(SubRip Text) : 가장 기본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자막 형식으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와의 호환성이 좋습니다. 텍스트 기반이라 용량이 작고 편집이 쉽습니다.
- SMI(SAMI) : 예전에 많이 사용되던 형식으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제한적으로 지원됩니다. 여러 언어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지만, 최근에는 점점 사용이 줄고 있습니다.
- SUB/IDX : 이미지 기반 자막으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에서는 기본적으로 지원되지 않습니다. 별도의 코덱이나 플러그인 설치가 필요합니다.
- ASS/SSA : 고급 스타일링이 가능한 자막 형식으로, 기본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에서는 제대로 지원되지 않습니다.
제가 지난주에 외국 다큐멘터리를 볼 때 SMI 파일로 된 자막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아 당황했던 적이 있습니다. 결국 온라인 변환 도구를 이용해 SRT 형식으로 변환한 후에야 제대로 볼 수 있었죠. 호환성을 위해서는 가능한 SRT 형식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자막 파일 이름과 위치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자막을 자동으로 인식하려면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파일명 일치 : 자막 파일의 이름은 동영상 파일의 이름과 정확히 일치해야 합니다(확장자만 다름).
예: movie.mp4와 movie.srt
- 같은 폴더 위치 : 자막 파일은 동영상 파일과 동일한 폴더에 있어야 합니다.
- 인코딩 형식 : 한글 자막의 경우 UTF-8, ANSI, 또는 유니코드 인코딩이 권장됩니다.
- 다중 자막 : 여러 언어의 자막을 사용하려면 파일명 뒤에 언어 코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 movie.en.srt(영어), movie.ko.srt(한국어)
동영상 파일 | 올바른 자막 파일명 | 잘못된 자막 파일명 |
---|---|---|
Avatar.mp4 | Avatar.srt | avatar.srt (대소문자 다름) |
The.Movie.2023.mp4 | The.Movie.2023.srt | TheMovie.srt (점이 없음) |
Korean_Drama_E01.mkv | Korean_Drama_E01.srt | KoreanDrama_1.srt (형식 다름) |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자막 설정 방법
이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자막을 활성화하고 설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단계별로 알아보겠습니다. 화면 설정부터 자막 옵션 활성화까지 차근차근 따라해 보세요.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실행 및 기본 설정
첫 번째 단계는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를 실행하고 기본 설정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1. 프로그램 실행
- 시작 메뉴에서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를 검색하여 실행합니다.
- 또는 윈도우 키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열고 'wmplayer'를 입력한 후 엔터를 누릅니다.
2. 메뉴 모음 표시 :
- 기본적으로 메뉴 모음이 숨겨져 있을 수 있습니다.
- 프로그램 상단 빈 공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메뉴 모음 표시'를 선택합니다.
- 이제 '파일', '보기', '재생', '도구' 등의 메뉴가 상단에 표시됩니다.
3. 플레이어 모드 확인 :
- 자막 설정을 위해서는 '전체 화면'에서 작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 '보기' 메뉴 → '전체 화면'를 선택합니다.
- 단축키 Alt + Enter을 사용해도 전체 모드로 전환됩니다.
자막 옵션 활성화하기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자막을 표시하려면 먼저 자막 옵션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1. 자막 설정 메뉴 접근
- 상단 메뉴에서 '재생'을 클릭합니다.
- '가사, 캡션 및 자막' 옵션으로 이동합니다.
- '사용 가능한 경우 켬'을 선택합니다.
2. 추가 설정을 위한 옵션 메뉴
- 상단 메뉴에서 '도구'를 클릭합니다.
- '옵션'을 선택하여 설정 창을 엽니다.
3. 보안 탭 설정
- 옵션 창에서 '보안' 탭으로 이동합니다.
- '로컬 자막이 있는 경우 해당 자막 표시' 옵션에 체크합니다.
- '웹페이지에서 명령 실행' 옵션도 체크하면 웹 기반 자막도 지원할 수 있습니다.
- '확인'을 눌러 설정을 저장합니다.
저는 처음에 이 단계를 놓쳐서 자막 파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자막이 보이지 않아 답답했었습니다. 특히 '로컬 자막이 있는 경우 해당 자막 표시' 옵션이 체크되어 있지 않으면 아무리 파일명을 맞춰도 자막이 표시되지 않더라고요. 이 설정은 꼭 확인하세요!
자막 파일 준비 및 연결
자막 옵션을 활성화했다면, 이제 자막 파일을 준비하고 동영상 파일과 올바르게 연결해야 합니다.
1. 자막 파일 준비
- SRT 형식의 자막 파일을 준비합니다. 다른 형식의 자막이라면 SRT로 변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자막 파일의 인코딩이 올바른지 확인합니다. 한글 자막은 UTF-8 형식이 권장됩니다.
2. 파일명 일치시키기
- 자막 파일의 이름을 동영상 파일의 이름과 정확히 일치시킵니다.
- 예: 영화 파일이 "Inception.mp4"라면, 자막 파일은 "Inception.srt"여야 합니다.
- 대소문자도 정확히 일치해야 합니다.
3. 파일 위치 확인
- 자막 파일과 동영상 파일을 같은 폴더에 위치시킵니다.
- 복잡한 폴더 구조가 있다면 간단한 경로로 이동시키는 것이 문제 해결에 도움됩니다.
4. 동영상 재생 및 자막 확인
- 준비된 동영상 파일을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로 엽니다.
- 자막이 자동으로 표시되는지 확인합니다.
- 자막이 보이지 않으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가사, 캡션 및 자막' → '사용 가능한 경우 켬'이 선택되어 있는지 다시 확인합니다.
결론
지금까지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자막 설정 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기본 원리부터 단계별 설정까지 다양한 정보를 통해 이제 자막 사용에 더 이상 어려움이 없을텐데요.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는 윈도우 운영체제에 기본 탑재된 플레이어로, 별도 설치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자막을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SRT 형식의 자막을 동영상과 같은 이름으로, 같은 폴더에 위치시키는 간단한 원칙을 기억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 바탕화면 아이콘 사라짐 해결방법 (0) | 2022.03.01 |
---|---|
윈도우10 계산기 설치하기 (0) | 2022.02.21 |
윈도우10 한컴타자연습 한글 설치방법 (0) | 2022.02.14 |
윈도우11 엣지에서 인터넷 익스플로러 모드 사용 방법 (0) | 2022.02.10 |
윈도우10 공인인증서 저장위치 찾기 (공동인증서) (0) | 2021.12.27 |